[2019 창간기획] 전세버스 대절 업체, 업계와 공존·상생 가능한 ‘플랫폼’인가
상태바
[2019 창간기획] 전세버스 대절 업체, 업계와 공존·상생 가능한 ‘플랫폼’인가
  • 안승국 기자 sgahn@gyotongn.com
  • 승인 2019.10.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콜버스·올버스 등 성장세…조합 “사회적문제 가능성 농후”
전문가들 “대중교통중심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필요”

 

[교통신문 안승국 기자] 대량 수송수단, 즉 버스운송사업에서의 공유경제 개념은 다소 어색한 것이 사실이다. 규칙적인 운행체계와 배차, 엄격한 승하차 규정,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성 등 노선버스 운영의 엄중한 공공성을 감안하면 플랫폼을 매개로 하는 버스 공유경제는 비현실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그런 의미에서 버스를 이용하는 운송사업 가운데 플랫폼 기술의 접목이 시도되거나 그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는 분야인 전세버스 등을 중심으로 그 흐름을 짚어보도록 한다.

전세버스업계, 플랫폼 통한 탑승자 모집

올 1월 정부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열린 경제활력대책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공유경제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에는 광역버스의 온라인 좌석 예약제 확대와 동시에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전세버스 탑승자 모집을 허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에 모바일로 탑승객을 모집하고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 뒤 요금을 받았던 콜버스 같은 형태의 사업이 가능해졌다. 플랫폼 사업자가 비정기적으로 탑승객을 모집하고 전세버스를 운행, 경비를 갹출하는 행위는 금지돼왔지만 이가 허용된 것이다. 사실 그간 전세버스 대절 플랫폼 업체들은 교통업계의 반발로 인해 사업 진행이 쉽지 않았다.

 

‘콜버스’ 등장

지난 2015년 12월 심야버스 공유 서비스로 출발한 ‘콜버스’는 전세버스운송사업자와 승객을 연결하는 플랫폼 사업자로 운송계약업무를 대리로 수행하고 있다. 해당 앱 회원이 출발지, 출발시간, 최종목적지 등의 정보를 전세버스운송사업자와 매칭시켜주는 사업 방식인 것이다.

당시 교통업계는 불법 노선버스화, 불특정 다수 개별 요금 수수, 택시 합승, 타 시도 불법 영업 등 위반 소지가 있다며 업권 침범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어 서울시는 콜버스의 여객운수사업법 위반을 검토하고 나섰다.

업체를 노선여객자동차운송사업으로 볼 수 있는지, 전세버스운송사업은 1개의 계약에 따라 운송을 해야 하는데 이에 적합한지, 기타 법령에는 저촉되는지 등을 국토교통부에 의뢰한 것이다. 이에 콜버스는 자신들의 방식이 노선버스처럼 정해진 정류소가 있는 것이 아닌 전세버스처럼 승객 각자 내려달라는 위치에 정차하기 때문에 노선화 주장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여객운수사업법상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버스 운송을 할 수 있는 것은 노선버스만 가능하다는 것에 대해서는 콜버스 앱을 다운받은 회원끼리 모여 전세버스를 빌리기 때문에 노선버스 업권을 침범한 것으로 볼 수 없어 합법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연이은 규제 문제로 인해 사업이 교착상황에 이르자 지난 2017년 4월 버스대절 가격비교 예약 사업으로 주력을 전환했다.

최근 콜버스는 지난 3월 누적 거래액 100억원을 돌파,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이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만들었다. 이 같은 성과는 지난해 9월 50억원을 넘어서고 6개월 만에 이뤄진 것이며, 누적 주문 수는 14만건에 달했다.

콜버스 앱을 통해 전세버스가 필요한 날짜와 경로만 입력하면 전국의 버스회사로부터 빠른 시간안에 견적을 받을 수 있는 편리함 때문에 이뤄진 결과였다. 비용을 알아보기 위해 여러 버스회사에 직접 연락해 알아보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박병종 콜버스 대표는 “서비스가 활성화되면 시내 자가용 이용은 줄어들어 교통흐름이 좋아지고, 대기오염 또한 줄어 살기 좋은 도시가 될 것”이라며 “향후 버스 기반 종합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전했다.

 

 

가격비교 플랫폼 ‘올버스’

또 다른 버스대절 업체 올버스는 지난 2016년 5월 탄생해 지난해 10월 업계 최초로 누적 거래액 60억원을 돌파했다.

올버스는 승객의 간단한 견적신청을 통해 운행 가능한 버스기사로부터 견적비용을 받아보고 비교할 수 있는 서비스로 현재 200개의 버스회사와 2150명의 버스기사가 제휴돼 빠른 견적을 받아 볼 수 있다.

지난 달엔 일 평균 300~400건의 견적이 등록되고, 누적 견적수는 20만건을 돌파했다. 간단한 견적신청으로 운행요금 뿐만 아니라 차량사진, 부대비용, 보험여부, 고객의 이용후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박해정 올버스 대표는 “버스대절 이용객들이 편리하고 저렴하게 이용했다는 후기를 들려줄 때 뿌듯하다”며 “ 전국의 모든 버스를 한 곳에 모아 볼 수 있는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알선중개업 아닌가”

플랫폼 업체들의 성장속에 전세버스 업계는 자신들이 해오던 업무를 면허나 등록 없이 운송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실질적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어 운송질서를 무너뜨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정부에서 지입문제 해소를 위해 각종 제도가 시행하고 있는 와중에 전세버스회사 통제를 벗어난 지입차량의 영업활로를 열어주는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으며 운행증미신고, 세금포탈 등의 문제와 관리소홀로 인해 사고발생 시 사회적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것이다.

전세버스 조합 관계자는 “그간 전세버스가 해오던 업무를 단순히 인터넷상에서 회원을 모집해 운행계통을 정했다고 스타트업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 또한, 수송수단도 없이 영업과 결제, 배차 등의 경영활동 전반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플랫폼 업체들이 운송사업과 무관하게 알선중개만 하는 것인지 여부를 심도있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현재 모빌리티 통합은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고, 미국과 유럽은 공공 대중교통 중심의 통합모빌리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한국형 모빌리티 발전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대중교통 중심의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한 전문가는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뒤지지 않는 우리나라의 대중교통 인프라를 활용해 기존 대중교통 중심으로 통합 가능한 수단부터 연계·정착시키고, 노선 중심 대중교통을 보완하는 역할로 신교통 수단을 결합해야 한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