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교통 정책 타워 절실
상태바
‘포스트 코로나’ 교통 정책 타워 절실
  • 박종욱 기자 pjw2cj@gyotongn.com
  • 승인 2020.1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단 이용 부익부 빈익빈 뚜렷해질 듯
과밀도 낮아지고 고급화 요구 증가도
산업 운영 비용·고용 문제 등 고민을

[교통신문 박종욱 기자] 코로나19 이후 교통 분야는 어떤 모습일까?

이미 여러 전문가들의 예상대로 ‘비대면 또는 최소 대면’에 ‘고급화’, ‘개별화’가 큰 흐름일 것으로 진단됐다. 이는 교통신문이 창간 54주년을 맞아 교통산업 각 부문의 운영 주체들을 대상으로 취재한 결과다.                                     

달리 말해, 사람 간 접촉을 가능한 최소화하되 개인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자연스럽게 증대되며, 기존 교통수단의 경우 좌석 간 거리를 더 벌리거나, 1회 이용 인원이 하향 조정될 가능성도 포함한다. 이 경우 지하철, 시내버스의 과밀도가 낮아지게 되나 수송력 저하 문제 등을 불러와 결국 이용료 인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플랫폼 택시의 제도화로 택시 수요는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자가용 승용차나 렌터카 수요도 계속 늘어나 결과적으로는 교통이용 측면에서의 부익부 빈익빈이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철도나 항공기의 경우 기존 1등석 개념의 고급 좌석 수요와 공급 모두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대신 수요가 감소하는 일반 여객운송은 부분적으로 화물운송으로의 전환 등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4차산업 혁명의 우선 수혜자로 꼽히던 카셰어링, 카풀 등 공유교통서비스는 당분간 침체 국면을 회복하기 어려우며, 대신 PM(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증가 속도는 눈부실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전반적 수요 감소에 대처해 교통 정책에의 변화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개별 수단 증가에 따라 대도시 지역의 경우 기존 도로공급 방식의 변화가 검토될 가능성이 있다. 자전거나 전동킥보드 등에 도시의 주요 도로에 전용로를 내주는 방안이 검토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산업별 전망과 과제를 말하면서도 이를 아우르는 정책 컨트롤 타워의 부재를 우려한다.

분야마다 맞이하게 될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만한 정보와 지식, 노하우가 태부족한 상황에서 정책에의 의존도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으나 현재의 상황에서는 ‘포스트 코로나’를 겨냥한 정부 차원의 논의가 부재한 까닭이다. 따라서 코로나19에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것 이상으로 ‘이후’에 대비하는 체계적 고민이 무엇보다 시급하면서도 절실하다.

산업 구조의 재편도 고민해야 할 숙제다. ‘노동 중심의 산업정책’이 강조될수록 산업 운영 비용과 인력 규모를 적정선에서 조정해야 하는 점, 곧 고용 문제가 남게 된다. 코로나19가 던진 또 다른 질문이나, 전문가들은 “현재로서는 답이 잘 안 보인다”고 말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