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동쪽끝 마을 세화, '워케이션 성지'로 각광
상태바
제주 동쪽끝 마을 세화, '워케이션 성지'로 각광
  • 교통신문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23.07.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용객들 “생각보다 훨씬 업무 잘돼 놀라워”
"나 자신 돌아보는 시간 만족" 마을에 활기
“원주민 따뜻하게 감싸줘 행복지수 200점!"
질그랭이거점센터 카페477+

"출퇴근 시간이 없다는 것만으로도 만족스러운데, 생각보다 훨씬 업무가 잘 돼 깜짝 놀랐어요!"
일과 휴가를 병행하는 '워케이션' 공간을 찾아 7월 초 제주시 구좌읍 세화리를 찾은 채지수(39) 씨는 "사무실처럼 근무환경이 잘 갖춰져 있으면서도 창밖으로 예쁜 바다가 보여 기분전환도 된다"며 큰 만족감을 드러냈다.
채씨가 몸담고 있는 서울의 금융회사는 지난해 워케이션 프로그램을 시범 도입, 직원들이 제주에 머무르며 근무할 수 있도록 했다.
직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자 회사는 올해도 3월부터 7월까지 매주 직원 10∼15명씩을 워케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고 있다.
같은 회사 동료 김모(37) 씨는 "직원 중에는 가족과 함께 제주에 내려와 저녁 시간이나 주말을 같이 지내는 등 정말 휴가를 보내며 일을 하시는 분도 있다"고 전했다.

◇코로나 이후 확산 : 제주 동쪽 끝자락에 자리 잡은 작은 마을 세화리는 '워케이션의 성지'로 불린다.
'워케이션'(workation)은 일(work)과 휴가(vacation)를 합쳐 만든 합성어다. 산과 해변 등 휴양지에서 일과 휴식을 병행하는 새로운 근무 방식으로, 코로나19 이후 확산하고 있다.
IT업계에 종사하면서 제주에서 한 달 살기를 하는 프리랜서 차모(43) 씨는 지역 주민의 소개로 세화리 공유오피스를 찾았다.
차씨는 "제주에 이런 공간이 있을 줄은 상상도 못 했다"며 "프리랜서들에게 최적의 장소"라고 엄지를 치켜세웠다.
세화리 공유오피스를 이용하는 기업들은 금융, IT, 식품, 온라인 쇼핑몰 등 각 분야에 걸친 국내 굴지의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다.
지난해 20개 기업 600여 명이 이용했다. 올해 상반기 이용객도 벌써 450여 명에 달한다.
◇주민들이 마을의 모습을 바꿨다 : 세화리 공유오피스가 자리한 건물 2층의 카페 이름은 '477+'이다.
바로 세화리를 워케이션의 성지로 만든 주민 477명을 기억하고자 붙인 이름이다. '+'는 더 많은 사람의 참여를 기대한다는 의미이다.
사실 수년 전까지 세화리도 여느 지자체와 다를 바 없는 고민을 하고 있었다.
청년층은 이탈하고, 마을은 고령화하고, 인구는 줄어드는 인구소멸 위험을 걱정했다. 공동체 의식과 결속력 또한 날로 느슨해졌다.
주민들은 위기의식을 느꼈다. 스스로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는 마을의 문제를 주민이 함께 해결하기 위한 협동조합의 결성으로 이어졌다.
2019년 10월 결성된 '세화마을협동조합'이었다.
여기에 참여한 주민의 수가 477명이었다. 개인당 최소 20만원, 많게는 1천만원의 출자금을 십시일반 모았다. 농부, 어민, 해녀 등 구성원들도 가지각색이었다.
주민들은 앞서 정부의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에 선정돼 지원받은 86억원을 어떻게 쓸지 머리를 맞댔다. 고민 끝에 나온 결론은 세화리를 '관광'과 '문화'를 입혀 여행자들이 찾는 마을로 만들자는 것이었다.
우선 주민들은 폐건물과 다름없던 마을회관 건물의 리모델링에 나섰다.
과거 결혼식 피로연을 하던 1층 공간은 관광객을 유치하는 여행사와 세화리사무소로 탈바꿈했다.
예식장으로 쓰던 2층은 구좌읍의 명물 당근을 재료로 한 주스와 케이크, 친환경용품 등을 파는 카페 '477+'가 들어섰다. 3층은 공유오피스, 4층은 숙박시설이 자리했다.
재래시장 옆 허름했던 건물은 이제 젊은 세대 감성에 맞는 멋진 현대식 건물로 거듭났다.
2020년 문을 연 '질그랭이 거점센터'다.
그리고 그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한해 6만명 다녀가다 : "도저히 풀리지 않던 일들도 잠시 하던 일을 내려놓고 바닷가 한 바퀴 돌고 오면 머릿속이 말끔해지면서 정리가 됩니다."
"마을 이곳저곳 거닐면서 열심히 농사짓는 분들, 물질하시는 해녀 할머니들 모습을 보면 자연스레 나 자신을 돌아보게 돼요."
질그랭이 센터를 이용한 사람들의 반응이다.
센터는 문을 연 첫해 1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차츰 입소문을 타며 관광객들이 찾기 시작하더니 이듬해 곧바로 흑자로 돌아섰다.
지난해에는 공유오피스를 비롯해 숙박시설, 커피숍 등 센터를 이용한 사람이 무려 6만 명에 달했다. 매출도 5억원에 이르렀다. 올해는 6억원 이상을 기대하고 있다.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한 한 주민은 "마을 주민들이 직접 해설사와 일일 강사로 참여하고 있다"며 "직접 참여하지 않는 주민들도 프로그램 참가자나 관광객을 만나면 반갑게 인사하고 어떤 일이든 친절하게 도움을 주려 한다"고 전했다.
2016년 1986명으로 2천 명에 못 미쳤던 세화리 인구는 올해 6월 기준 2271명까지 늘어났다.
전국 대부분의 마을이 인구 감소에 시달리는 것과 달리 인구가 10% 이상 늘어나는 '기적'과 같은 일이 일어난 것이다.
단순히 관광객 등 방문객이 늘어난 것이 아니라, 마을에 사는 '거주민'이 크게 늘어난 데는 세화리만의 비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세화리 사무장 양군모씨

바로 원주민과 이주민의 조화와 단합이다.
세화리 사무장으로 질그랭이 거점센터의 안살림을 도맡아 하는 양군모(35) 씨는 학사장교로서 7년간 군생활을 정리하고 세화리에 정착한 이주민이다.
세화리에서 두 아들을 키우는 싱글맘 안주희(43) 씨도 비슷한 감정을 느꼈다.
안씨는 "아이들을 데리고 이곳에 왔을 때 지역주민들은 어떤 편견 없이 우리 가족을 맞아주었다"며 "아이 둘을 키우는 엄마가 너무나 편하게 자리잡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힘이 됐다"고 고마워했다.
세화리는 이제 새로운 도전을 하고 있다.
세계관광기구(UNWTO)의 '세계 최우수 관광마을' 선정에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이는 관광으로 지역 불균형과 인구 감소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지구촌 곳곳의 마을을 선정해 인증하는 사업이다. 전 세계 44개 마을이 인증을 받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