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근시간, 젊은층 '이직 의향'에 주요 요인
상태바
통근시간, 젊은층 '이직 의향'에 주요 요인
  • 교통신문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23.1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동연 보고서…“삶의 질 향상 욕구 반영”
“수도권 인구 쏠림 심해져 통근시간 증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분위기가 확산하면서 '통근 시간'도 젊은 직장인들의 이직 의향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진욱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과 오세미 한국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지난 9일 한국고용정보원의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에 수록한 '대졸 청년층 이직 의도 영향 요인 변화' 보고서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연구자들은 2010년과 2018년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자료를 활용해 34세 이하 대졸 직장인들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두 시점에서 모두 4년제 졸업자일수록, 현 직장의 근속기간이 길수록, 전반적인 직장 만족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맡은 업무가 자신의 교육·기술 수준보다 낮을수록 이직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2010년과 2018년 사이 변화가 감지된 부분도 있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통근 시간이었다.

2010년엔 통근 시간이 이직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2018년 조사에선 통근 시간이 늘어날수록 이직 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2018년 조사에선 통근 시간이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며 "직장 생활보다는 개인적인 삶을 더 중요시하는 청년층은 통근 시간을 단축해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욕구가 크다"고 분석했다.

특히 서울서 일하는 직장인들의 이직 의도가 기타 시도보다 높았는데, 수도권으로의 인구 쏠림이 심화하면서 '직주 근접'(직장과 주거지 근접성)을 실현한 사람은 적어지고 통근 시간이 늘어난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됐다.

연구자들은 "서울 직장인들은 더 나은 출퇴근 환경, 궁극적으로 직주 근접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이직을 원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지원할 정책을 고민해볼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지역의 경우 교통·주거 인프라 등이 갖춰지지 못하면 통근 시간이 길어져 청년층 이직이 가속할 수 있으므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2010년엔 임금이 높을수록, 근무시간이 길수록 이직 의도가 낮아지는 것이 관측됐는데, 최근엔 이러한 요인들의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주 52시간 정착 전에는 근무시간이 길수록 임금이 높아질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이직 의도도 낮아졌지만, 최근엔 법적 초과 근무시간의 제한과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그러한 영향이 사라졌다고 연구자들은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