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의 두 가지 뉴스
상태바
7월의 두 가지 뉴스
  • 관리 webmaster@gyotongn.com
  • 승인 2011.0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7일 새벽 마침내 평창이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었다는 뉴스를 접하게 됐다. 최종 발표가 있기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한 인터뷰에서 '한국은 삼 세번'이라고 해서 설마 했는데 정말 세 번만에 국가적 경사를 맞은 것이다.

그런데 불과 며칠도 지나지 않아 국민적 축하 분위기가 냉각되고 있는 것 같다. 이른바 모 방송국 앵커의 감정적 모습과 한 정부 고위관료의 트위터 내용을 두고 때 아닌 전체주의 논쟁이 벌어지는가 하면 올림픽 개최 기대효과에 거품논란이 확산되고 남북공동 개최론까지 거론되면서 사회전체가 온통 뒤숭숭한 분위기가 된 것이다.

이렇다보니 마치 우리나라가 동계올림픽을 유치한 게 잘못된 일이었나 하는 혼란에 빠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것은 적절한 판단이 아니다. 냉정히 보자면 동계올림픽을 잘 준비하자는 충정으로 받아들일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니나 논란의 본질은 오히려 순수한 세계적 스포츠 잔치를 두고 해묵고 고질적인 보혁대결을 벌이자는 것이거나 정쟁을 하자는 것이고 국가간 질투와 질시의 한 단면을 드러낸 것에 다름 아니다.

분명한 것만 정리해 보면 이렇다. 첫째, 동계올림픽 유치는 이번에 우리가 유치에 실패한 것보다는 여러 면에서 나은 결과라는 것, 둘째, 동계올림픽 개최 효과는 미리 정해져 있는 효과가 아니라 지금부터 우리가 역량을 다해 달성해야할 과제라는 것이다. 셋째, 아무리 생각이 달라도 그간 전세계를 돌며 온갖 고생을 무릅써온 관계자들과 10년 넘게 유치를 학수고대해온 강원도민에 대해 최소한 지켜야 할 예의라는게 있다는 점이다.
또한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는 우리 관광에도 새로운 발전을 기대하게 한다. 바로 다음달 대구에선 세계육상선수권 대회가 열리고 10월에는 1500명 이상의 국내외 고위 관광인사들이 참석하는 UNWTO 제19차 총회가 경주에서 개최된다.

이것이 다가 아니다. 내년 2012년엔 여수엑스포가 개막하고 2014년엔 인천 아시안게임도 열리게 된다. 이를 이어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이 개최되는 것이다. 돌이켜 보면 우리의 관광은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을 필두로 1988년 서울 하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함으로써 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2002년 월드컵축구대회를 유치하면서 세계인의 관광목적지로 성장하게 된 것이다.

이후 10여년 동안 우리나라에선 이렇다 할 메가이벤트를 갖지 못하다가 2010년대에 들어 이와 같이 전례 없는 골든브릿지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점들이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서 무엇보다 먼저 봐주어야 할 점들인 것이다.

이달에 두 번째 주목한 뉴스는 평창올림픽 개최가 확정되던 날 뉴욕타임즈에 실렸던 한 기사다. 해당 기자가 보기엔 한국사회 전체가 신경쇠약직전이라는 것이다. 시점상 언뜻 제목만 보았을 땐 우리의 올림픽 개최를 못마땅히 여긴 기사인가 했는데 내용을 보니 그런 것은 아니었다. 이 기사에서는 한국사회가 과도한 노동과 스트레스, 일상의 많은 걱정 때문에 이혼율이 치솟고 특히 자살률이 높아지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이를 알면서도 우리사회가 적정히 대응하지 못하는 이유로 사적 감정을 표현하거나 필요한 정신과 치료를 꺼리는 문화와 제도를 꼽고 있다.

사실은 바로 이점 때문에 그간 관광의 중요성을 말해온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관광은 유력한 치유의 수단 중 하나이며 가족공동체를 강화해주는 사회적 활동이다.

하지만 최근 정리된 2010년 국내 관광통계를 보면 우리나라의 국내관광 참여율이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다. 2008년 92.3%였던 국내여행 참여는 2009년 75.1%로 급감하더니 2010년 72.8%로 더 낮아진 것이다. 여행에 참여하지 못한 이유를 보면 여가시간과 마음의 여유 부족이 무려 48.6%에 달하고 있다. 건강상의 이유도 2008년 6.8%에서 2009년 7.1%로 오르다 2010년엔 11.0%까지 높아졌다. 우울하고 속상한 얘기다.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겠지만 이는 빈부양극화 등 계층 차이가 크게 반영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 

평창 동계올림픽유치라는 쾌거와 신경쇠약 직전의 우리사회라는 이달에 주목한 두 가지 뉴스가 시사하는 바는 분명해 보인다.

우리 관광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앞으로 10년 골든브릿지를 최대한 활용하는 범정부적 인바운드 대폭 확대 정책과 소외자 없이 국민 대다수가 관광을 통해 위로받고 치유받을 수 있는 복지관광정책이 본격적으로 고려돼야 한다는 것이다. 재정만 확대한다고 될 일이 아니다. 이들을 보듬고 배려하는 세심한 소프트 프로그램과 콘텐츠가 동시에 강구돼야 한다.

어려운 이웃을 옆에 두고 발전과 성장만을 말하는 것은 균형을 잃은 정책일 뿐 아니라 옳은 정책도 아니기 때문이다. 관광정책의 근본적 변화가 고민되어야 할 시점인 것이다.

<객원논설위원·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