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환승할인제도’ 달라도 너무 다르다
상태바
‘버스환승할인제도’ 달라도 너무 다르다
  • 정규호 기자 jkh@gyotongn.com
  • 승인 2014.06.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마다 최대 환승 횟수, 적용시간, 다인승 탑승 제각각
 

버스환승할인제도가 지역마다 달라도 너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지난 5월 한 달간 전국 지자체(132곳)의 최대 환승 횟수부터, 환승 적용 시간, 다인승 탑승 및 환승 가능 유무, 동일 노선 가능 여부 등을 확인한 결과 환승할인 복지 편차가 상당히 벌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장 좋은 혜택을 받는 곳은 수도권인 서울·인천·경기도 시민들이었다.

수도권 시민들은 지난 2007년 수도권통합비례제를 통해 환승 횟수 최대 5회, 다인승 탑승 및 환승 모두 가능, 동일 노선 재승차 가능 등으로 전국에서 가장 좋은 환승할인 혜택을 받고 있었다.

반대로 충주·목포·군산 등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환승 횟수 1회, 30분 이내 적용 등 최소 수준의 혜택을 받고 있었다.

또, 전국 지자체 중 76곳은 환승할인제도 도입 전이어서 해당 지역 주민들은 환승 복지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왜 지역마다 환승할인제도의 혜택의 폭이 제각각일까.

전문가들은 ‘지자체 예산’과 ‘교통카드 인구수 비례’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다.

교통카드업계에 따르면 환승할인제도는 정부가 지원해야 할 교통복지와 같다. 때문에 자체별로 예산 편성에 따라 환승 횟수, 적용 시간을 정할 수 있다. 예산이 넉넉한 지자체는 환승 횟수와 적용 시간을 늘릴 수 있지만 예산이 부족한 지자체는 환승 복지를 늘릴 수 없다는 것이다.

또, 서울 등 수도권을 비롯해 광역시들은 버스와 지하철을 교통카드로 이용하는 시민들이 많기 때문에 그만큼 수익도 많아 유연한 환승복지제도를 펼칠 수 있다.

A교통카드 관계자는 “예를 들어 수도권에서 교통카드사들이 100만원을 투자해 월 1만원의 이익을 갖는다면 지방에서는 버스를 이용하는 인구가 적어 같은 100만원을 투자해도 년 1만원의 수익을 벌어들이기가 쉽지 않다”며 “버스회사나 교통카드사들이 돈을 벌기가 쉽지 않은데, 무턱대고 환승 혜택만 퍼부어 줄 수 없다”고 설명했다.

교통담당 공무원들의 환승할인제도 이해도가 높지 않은 것도 이유로 꼽히고 있다.

B교통카드 관계자는 “지자체의 교통담당 공무원들이 환승할인제도를 도입할 때 수도권 등 비교적 잘 돼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면 좋은데, 근접해 있는 지역의 환승 혜택과 견주기 때문에 혜택의 폭이 커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올해 환승할인제도를 도입키로 한 지자체의 교통담당 공무원은 “근접한 지역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승 혜택 수준으로 맞출 생각이다. 여기보다 큰 도시에서 1회, 30분 이내 가능인데, 우리쪽에서 2회, 40분 이내로 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실정이 이렇다보니 복지를 통일시켜 달라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기도에 사는 유수정 (40, 주부)씨는 “4인 가족이 순천에 놀러갔는데, 당연히 동승 탑승과 환승이 될 줄 알고 4인 가격을 찍었는데, 다음 버스에서 환승이 안됐다. 알고 보니 순천은 환승은 1번, 다인승 탑승은 가능하지만 환승을 불가능했다. 이럴 바엔 그냥 렌트카를 이용하는게 더 저렴했을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반대로 목포에서 분당으로 올라온 정지영(32. 회사원) 씨는 “교통카드를 찍었는데, 2인 가격이 찍혔다. 앞사람이 ‘두명이요’라고 동승을 요구했고, 교통카드를 찾는 사이에 내가 찍었던 것이다. 목포에서는 1인 1카드였고, 서울도 똑같은 줄 알고 찍은 것인데, 기사 아저씨가 환불을 할 수 없다고 해서 어쩔 수 없이 손해를 봤다”며 “일정 부분은 시민들이 통일되게 이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