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신년특집] 스마트시티 ‘新 르네상스’를 맞다 <서울시>
상태바
[2019 신년특집] 스마트시티 ‘新 르네상스’를 맞다 <서울시>
  • 이재인 기자 koderi@gyotongn.com
  • 승인 2019.01.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똑똑하고 편리한 스마트시티 서울에 들어선다
 

[교통신문 이재인 기자] 스마트 가로등·스마트 벤치 등 생활형 정보기술이 적용된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 특구’가 서울시내 조성된다.

IoT 사물인터넷·AI 인공지능 기반 생활편의 서비스의 상용화가 가능한지 평가과정을 거쳐 서울시 전역에 확대·적용하고, 빅데이터 캠퍼스와 민간자원 협력에 의한 시민 주도형 디지털산업 50% 달성을 통해 소통을 강조한 ‘소셜특별시’ 구축 사업의 일환이다.

교통·환경·복지·안전 등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디지털사회혁신’ 5단계(2015-2020) 과제 중 올해는 2020년 재난사고 현장도착율 97% 달성을 목표로 주민센터와 연동한 통합서비스 구축 작업에 무게가 실릴 것으로 보인다.

먼저 스마트시티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정보공유 채널이 강화된다.

서울시의 주요정책 사업을 보면, 초고속자가통신망·공공 와이파이(WiFi) 등 개방형 SW융합 R&D 사업을 통해 생활편의 시설 인프라의 증설과 서울형 공간정보 플랫폼 지도태깅의 가시화를 목표하고 있다.

공간정보 서비스의 고도화를 통해 도시교통 해결과제도 수행된다.

이동수단과 모빌리티 서비스 다양성을 통해 인간의 기본권 가운데 하나인 ‘이동권’을 보장하고, 보편적 교통복지의 실현 방침을 명확하게 설정한 것이다.

여기에는 통합교통정보센터(TOPIS)와 CCTV 통합관제센터의 첨단화 작업을 거쳐 빅데이터 기반 심야버스를 운행하는 서비스가 포함돼 있다.

스마트시티의 연결고리 격인 공공 와이파이도 증설된다.

이는 서울시내 운행되는 버스에 추가·설치함으로써 시민의 정보 접근권을 향상하고 정보 격차를 해소한다는 공공의 목적을 띄고 있다.

시에 따르면 1만559개(2017.12)의 AP(acess point)가 설치돼 있고, 지하철 광장 등 공공장소 3584곳에서 무료 제공되고 있는데, 추가로 1만개의 공공 와이파이와 무선인터넷 환경개선 차원에서 클라우드센터 인프라 증설사업이 검토·추진될 예정이다.

▲스마트 행정서비스 개시

시민체감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감안해 스마트 행정서비스가 본 가동된다.

민간에서 제안한 아이디어와 상용화 가능성을 평가해 현장 적용하는 방식의 시민 참여형 스마트시티가 구현된다.

IoT 기업실증 중심 운영으로 IoT 행정서비스 발굴과제가 본격화된다.

구체적으로 분야별 단절 운영 중인 도시데이터를 상호 연계해 빅데이터로 통합 관리하고, 관련 부서 및 유관기관과 협의를 거쳐 하나의 플랫폼에서 주요 도시 데이터와의 정보공유와 업무 연계 시스템 구축이 가시화된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도시정보의 실시간 생산·관리·공유로 공공·민간분야 다양한 융합서비스를 개발하고, 도시 상황에 대한 실시간 감지·분석·대응 등 지능형 도시 운영을 구상하고 있다.

인프라 고도화, 거버넌스 체계, 제도정비 등은 스마트시티 본격 추진을 위한 선행과제에 포함돼 있다.

▲인프라 개보수 관리 신기술 발굴

서울시내 인프라 노후화로 인해 시설물 위험이 가속화될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개보수 작업이 단행될 예정이다.

시에 따르면 시설물 2394개소와 관로·궤도 2만5108㎞ 중 30년 이상의 연식 비율은 현재 33%에서 10년 후 61%로 노후화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시는 시설물 유지관리 비용은 2017년 기준 8849억원에서 10년 뒤 2조7687억원으로 2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 반면, 서울시 재정 여건상 한계가 있기에 시설물 효율적 운영·관리를 위한 스마트 신기술을 발굴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도시재생 ‘스마트 아파트’ 등장

교통물류·일자리·에너지·산업안전을 골자로 한 지역특화 조성사업이 민·관 협력체제 하에 추진된다.

도시기본계획 후속계획으로 생활권계획이 수립되는데, 여기에는 뉴타운 재개발 대안으로 2012년부터 근 6년간 진행된 서울형 도시재생사업(131곳 개보수)을 비롯, 도시재생지원센터(19개소, 141명 코디네이터)와 거점시설(31개소, 시민 907만여명 방문) 활성화를 통해 자생기반 부족으로 한계 상황에 직면한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전략이다.

도시계획·도시재생사업 채널에는 서울시 53개 협력부서, 국토부 등 17개 중앙부처, 대학·기업 92개 전략기관, 주민·상인협의체 136개 민간단체, 73개 주민협의체 등 공공 민간이 참여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IoT 스마트 소통 기능이 포함된 아파트 관리체계가 도입·적용되는 ‘스마트 아파트’가 있다.

입주민 안전·편의를 위해 스마트 아파트가 시범 추진되며, 여기에는 온라인 투표, 스마트폰 기반 정보공유·소통, 출입문 자동 개폐, 무인택배 도착 알림, 층간소음 측정, 여성안심귀가 등이 포함된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스마트 사업자 업체(2개)와 참여 아파트(5개 단지)를 공개 모집하고, 5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공동주택 입주자 의사지원시스템 구축사업이 실행된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