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기후위기 대응·요금부담 완화"…오세훈 "대중교통 활성화가 핵심"
월 6만5천원을 내면 서울 지하철과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까지 모두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전용 교통카드가 처음 나온다.
서울시는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 이용권인 '기후동행카드'(Climate Card)를 내년 1∼5월 시범 판매하고 보완을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11일 밝혔다.
기후동행카드는 6만5천원으로 구매한 후에 한 달 동안 서울 권역 내 지하철과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 등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지하철만 이용 가능했던 기존의 정기권에서 범위가 확장됐으며 이용 횟수 제한, 사후 환급 과정 등이 필요한 다른 교통패스와도 차별화된다.
실물 카드뿐 아니라 스마트폰 앱으로도 이용할 수 있고 실물 카드는 최초 3천원으로 카드를 구매한 후 매월 6만5천원을 충전해서 쓰면 된다.
서울 시내에서 타고 내리는 지하철 1∼9호선을 비롯해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까지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단, 기본요금이 다른 신분당선은 제외된다.
서울에서 승차해 경기·인천 등 다른 지역에서 하차하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지만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승차할 때는 쓸 수 없다.
버스의 경우 서울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경기·인천 등 타지역 버스나 기본요금이 상이한 광역버스는 서울 지역 내라도 사용이 불가하다.
서울과 타지역 버스를 구분하는 기준은 '노선 면허'를 얻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다. 각 버스 노선번호를 검색하면 해당하는 면허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1시간 이용권'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향후 한강 리버버스 등 새롭게 추가되는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까지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승용차 이용이 늘어나며 줄어든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사람들이 통행할 때 하루 중 이용하는 교통수단의 분포 비율)을 끌어올려 기후위기 대응의 단초를 마련한다는 목표다.
서울 시내 온실가스 전체 배출량 중 수송 분야 온실가스가 17%(약 763만t)를 차지해 이를 줄이려면 승용차 이용을 대중교통 수요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2021년 기준 서울의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은 52.9%로 2018년 65.1%보다 줄었다. 반면에 승용차 수단분담률은 같은 기간 24.5%에서 38.0%로 늘었다.
특히 최근 물가·에너지 비용이 큰 폭으로 오른 데다 버스 요금에 이어 내달 지하철 요금 인상도 예정돼 시민이 체감하는 가계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요금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도 내겠다는 게 시의 구상이다.
시는 종사자 100인 이상 기업에서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해 임직원에게 배부하면 교통유발부담금 감면 등 추가적인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시는 기후동행카드 도입으로 연간 1만3천대가량의 승용차 이용이 줄고 연 3만2천t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약 50만명의 시민이 1인당 연간 34만원 이상의 할인 혜택(따릉이 이용 포함)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주중 승용차로 출·퇴근하거나 주말에 승용차를 타던 시민이 대중교통으로 수단을 전환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한 수치다.
아울러 기후동행카드가 안정적으로 자리매김하면 인프라가 제한적인 지역의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에 도움이 되고 출·퇴근, 통학 외에 여가·문화 등 시민 활동 전반에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했다.
국제 유가 상승이 이어지는 데다 범지구적으로 폭염·폭우·가뭄 등 기후위기 징후가 나타나면서 세계 여러 국가도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다.
서울 기후동행카드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고물가 시대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교통 대책이다.
독일은 지난해 6∼8월 한화 약 1만2천원으로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9유로 티켓'을 실험 도입해 약 5천만장을 판매했다.
그 결과 대중교통 이용 25% 증가, 이산화탄소 180만t 저감, 물가상승률 0.7% 감소를 비롯해 교통혼잡 개선, 대중교통 신규 이용자 증가 등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달성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5월부터 월 49유로 '도이칠란트 티켓(D-Ticket)'을 본격 도입해 3개월여 만에 1100만장을 판매했다.
이외에도 프랑스 파리는 월 72.9유로 정기권을, 오스트리아는 연 1095유로 '기후 티켓'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
오세훈 시장은 "교통 분야 기후위기 대응은 친환경 버스 교체, 공공자전거 확대, 전기택시 보급 등 하드웨어 교체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가 핵심"이라며 "기후동행카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시민과 동행하는 교통정책을 계속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기후동행카드’ 계획에 경기·인천 '유감'
“사전 협의 없는 일방적 발표
3개 지자체 협의체로 해결을”
서울시가 '기후동행카드' 출시 계획을 발표하자 경기도와 인천시가 "사전 협의 없는 일방적 발표"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 지자체는 서울시의 발표 뒤 유감을 표명하는 보도자료를 내고 "서울, 인천, 경기 등 3개 지자체가 참여하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고 협의체를 통해 도입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도권 교통 문제는 3개 지자체의 협력이 필요한 모두의 문제라는 입장으로 서울시의 독단적 정책 추진에서 벗어나 지자체 간 공고한 협력체계 구축을 강조했다.
김상수 경기도 교통국장은 "2600만명 수도권 교통 문제를 사전 협의 없이 서울시 단독으로 추진하는 것에 대해 분명하게 유감을 표명한다"며 "하나의 생활권을 가진 수도권의 교통 문제는 특정 지자체만의 일방적 노력이 아니라 3개 지자체 간 공동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난제"라고 밝혔다.
그는 "3개 지자체는 2004년 수도권 통합환승제 도입을 계기로 수도권 교통 문제의 공동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며 "3개 지자체 실무협의체를 통해 '수도권 통합 환승 정기권' 제도 도입 방안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고 다른 수도권 교통 현안에 대해서도 정기적으로 만나 공동으로 해결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인천시도 서울시의 계획에 대해 '일방적인 발표'라며 유감의 입장을 나타냈다.
인천시는 11일 오후 보도자료를 내고 "오늘 오전 서울시가 발표한 통합 환승 정기권의 운영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공동생활권으로 묶이는 수도권 교통문제는 인천·서울·경기가 함께 풀어야 할 숙제"라며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인천시도 이 계획에 대해 수도권 3개 시·도가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도입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인천시는 "가계 부담과 기후 위기 대응 측면에서도 공동 대응이 더 효과적이라는 게 인천시의 분석"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시가 제안한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 이용권은 기본요금이 서로 다른 광역버스는 이용이 불가능하며 서울 이외 지역에서의 지하철 승차도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는 게 인천시의 분석이다.
김준성 인천시 교통국장은 "국비와 지방비를 공동으로 투입해 범정부적으로 추진하는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인 'K-패스'가 내년 전국적으로 시행을 앞둔 상황을 고려할 때 통합 환승 정기권 추진 여부는 수도권 3자 협의체에서 협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추진 중인 K패스 사업은 지하철, 버스를 한 달에 21번 이상 이용한 사람에게 교통비의 20∼53%에 해당하는 금액을 환급해주는 정책이다.